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시시한 어른과 맛없는 맥주 [밥벌이 에세이]

밥벌이 에세이

by 풀칠러 2021. 8. 10. 16:26

본문

WRITER : 아매오

 

봄은 어느새 목련을 지나 벚꽃을 향해 질주 중이었다. 자정 무렵 퇴근길의 공기는 아직 제법 쌀쌀했다. 수입맥주 네 캔과 안주로 고른 과자가 담긴 비닐봉지를 손에 든 채 발걸음을 재촉했다. 바삐 걷는 나를 부각시키기로 작정한 듯 골목길은 필요 이상으로 깜깜하고 조용했다. 편의점과 집의 중간 지점에 있는 코인 세탁소 앞을 지나치는데, 문득 그저 그런 시시한 어른이 돼 가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맥주와 과자와 비닐봉지를 한 프레임에 담은 사진을 인스타 스토리에 올렸다가 곧바로 내렸다. 설렘이 가득한 꽃 사진들 사이로 이딴 사진이라니. 어쩐지 꽃밭에 쓰레기 버리는 몰상식한 사람이 된 듯한 기분이 들었다. 물론 아무도 나에게 뭐라고 하지 않겠지만, 혹시 뭐라고 하더라도 나는 그걸 모를 테지만, 그럴 때면 꼭 스스로 면박을 주게 된다. 뭐 자기 자신이 최후의 레드팀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일 수도 있겠지.

최근 3주 간 주말마다 결혼식이 있었다. 대학교 후배, 고등학교 친구, 사촌 동생 순서로 날이 잡혔는데 내 입장에서는 알고 지낸 기간에 따른 순서이기도 해서 기분이 묘했다. 지나온 삶을 거슬러 올라가는 느낌이라고 할까. 결혼을 남일처럼 여겼던 시절부터 알고 지낸 이들이 벌써 자기 평생의 배필을 선택했다는 게 신기했다. “신기하다”는 소감에 당사자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나도 내가 신기해”라고 똑같이 반응했다.

결혼의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 하지만 사랑이라는 추상적인 감정을 법과 제도라는 구체적인 형태로 잡아준다는 점에서 그 무게가 가볍지 않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내 생각에 결혼은 더하기의 계약이라기보다는 빼기의 계약이다. 서로를 책임진다는 약속을 말로만 하는 게 아니라 실제로 자기 자신을 담보로 잡기 때문이다. 결혼이 사회의 모든 계약 중 당사자 구속력이 압도적으로 높은 이유다.

책임. 그게 문제였다. 인생의 큰 결정을 해 나가는 주변 사람들을 보고 있자니 상대적으로 내 모습이 초라하게 느껴졌다. 책임져야 할 것도, 책임지지 않아도 될 것도 분명하지 않은 상황에서 애매한 책임감으로 이도 저도 아닌 선택을 반복하는 내가 답답했다. 딱히 남들보다 어깨가 무거운 것도 아닌데, 더 얹을 것도 없으니 본인만 건사하면 되는데, 그조차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이리저리 도망쳐 다니는 꼴이 우습게 느껴졌다.

시시한 어른이란 그런 것이었다. 내가 나를 챙기지 못하는 바람에 그저 흘러가는 상황에 따라 살게 되는 것. 답답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맥주 한 캔의 알딸딸함에 기대 억지로 하루를 마무리하는 것뿐이었다. 얼마 전 “짱구 아빠에게 맥주란 고단한 하루의 결승선이었으리라.”라는 문장을 읽었는데, 내게 맥주란 간이쉼터에 불과했다. 아마 짱구 아빠가 마시는 맥주와 내가 마시는 맥주는 완전히 다른 맛을 낼 것이다.

교훈적으로 글을 끝내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라블라…”라는 문장이 나올 타이밍이다. 그러나 내 마음이 그렇지 않아서 못 쓰겠다. 대신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말을 전하고자 한다. 경험상 모든 것은 정말로 지나갔고, 무엇이든 남았다. 이 말이 체념을 뜻하진 않는다. ‘Keep Going’에 가깝다. 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견디는 것. 그 시간이 새긴 흔적을 궤적 삼아 고민하고 결정한 딱 그만큼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마감도비


저는 작년에야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어른제국의 역습>을 봤습니다. 남들이 그렇게 좋다고 하기에 어느 추운 주말 저녁에 혼자 서울 자취방 침대에 앉아서 봤어요. 초반 30분까지는 납득이 잘 안 갔습니다. 그냥 그렇고 그런 짱구 극장판인데? 하면서 말이죠.(물론,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었지만요.) 아, 그런데 후반부에 짱구 아빠가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단 몇 초 만에 이해가 가더라구요. 왜 이 영화가 많은 사람들한테서 사랑을 받는지를요. 사실, 우리 모두 너무 힘들잖아요. 웃는 날은 가끔인데 우는 날은 자주 있죠. 그러니 피곤함도 버거움도 없던 시절을 회상하며 흘리는 눈물에 누가 공감하지 않을 수 있겠어요.

나를 막아줄 방어막이 없다는 것, 나 자신이 방어막이 되어야 한다는 것. 그런 게 어른인가 싶어요. 아매오님이 느꼈던 하루를 막아냈다는 느낌도 이와 비슷하지 않았을까요. 아매오님이 섣불리 말하지 않는 희망이나 낙관을 제가 말하는 건 주제넘은 짓이겠죠. 그래서 저도 아매오님의 결론과 똑같은 말을 들려드리고 싶어요. 어떻게든 되겠지. 어떻게든 될 거에요.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어요.

 

 

야망백수


아매오님이 ‘자기 삶에 대한 책임’이라고 말씀하신 걸 제 언어로 바꾸면...”나 시벌 잘 살고 있는 걸까?” 정도가 될 것 같네요. 친구들에게 이런 고민을 토로하면 약속이라도 한 듯 비슷한 답변이 돌아오죠. 마치 ‘하우 알 유?’라고 물으면 ‘아임 파인 땡큐 앤 유?’라는 답이 돌아오듯이요. “남들의 가장 빛나는 순간과 나의 가장 어두운 순간을 비교하지 말라”, “누구나 자기만의 속도가 있는 법!”

하지만 유난히 불만지수가 높은 날엔 이런 경구에 위로받는 제 마음마저 의심하게 됩니다. 정상궤도를 벗어난 인생에 대한 얄팍한 자기합리화가 아닐까, 하면서요. 백약이 무효한 비관인 셈이죠. 저만의 속도로 인생을 잘 살고 있는 것인지, 정상궤도를 벗어나 추락하고 있는지는 이 시절을 완전히 지나고 나서야만 알 수 있고 이 시절 다음에 올 시절을 결정하는 건 지금의 제게 달려 있다는 것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생의 엿같음을 함껏 탐닉해보는거죠. 한편으론 이것도 다 아직 젊으니까 부릴 수 있는 사치다!라고 생각하면서요.

저희 요번 주말에 간만에 만났었죠. 흐린 날씨에 별 영양가 없는 얘기하며 맥주나 마시며 보냈던 다소 침울한 하루였지만 멀지 않은 훗날엔 이번 주말의 우리를 젊었던 풍경으로 기억하게 될 거라 믿습니다.

 

파주

나이를 더부룩하게 먹은 탓일까요. 저는 요즘 무익하고 못난 생각을 자주 하곤 합니다. 이를테면 '이런 시시한 어른이 되고 싶지는 않았는데. 고작 내 꿈이 직장인 같은 건 아니었는데'라는 식의 것들이요. 뭐, 그렇다고 대단한 업적을 이루거나 대가가 되겠다는 꿈을 가진 건 아니었지만요. 아마도 현재의 상태가 제가 기대했던 이상적인 어른의 모습과는 다르기 때문이겠죠.

한편으로는 이렇게 살면 좀 어때,라는 반발심이 일기도 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말 중에 '흘리지 않는 1인분의 삶'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본래는 사랑과 후회에 대한 멋진 평이었지만) 맛있는 것을 잘 챙겨 먹고 하고 싶은 일을 실컷 하며 삶을 만끽하는 것이야말로 1인분의 삶을 제대로 사는 방법이 아닐까요. 그런 의미로 오늘밤 저는 마라탕을 주문하겠습니다. 아주아주 매운 맛으로요.

 

 


 

 

밥벌이 에세이 <풀칠> 메일로 받아보기

 

밥벌이 에세이 풀칠 구독하기

잘난 거 없는 우리가 전하는 근근히 먹고 사는 이야기. 매주 수요일 밤 10시, 평일의 반환점에 찾아갑니다.

page.stibee.com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