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 : 마감도비
뉴스를 볼 때마다 의아했다. MZ세대는 성과보다는 워라밸을, 돈보다는 여유를 중시한다는 내용의 뉴스였다.
“이상하다... 나는 야근을 좀 더 하더라도 돈을 더 많이 벌고 싶고(현실은 포괄임금제) 조금 고되더라도 직장이나 업계에서의 평판을 높이고 싶은데. 가끔은 육체적으로나 심적으로 힘들더라도 좀 더 나은 결과물을 내고 싶은데...”
의아함은 풀칠을 읽고 쓰면서도 계속됐다. 직장을 훨훨 떠나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모임을 주도하며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거나, 퇴근 후에는 전혀 다른 캐릭터가 되어 새로운 일을 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들을 때마다 머리를 긁적였다. 나에게도 ‘마감도비’라는 부캐가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나는 퀭한 얼굴로 노트북 앞에 붙들려 어디로도 떠나지 못하는 망령 같았다.
물론, 현실이 만족스러운 건 아니었다. 매일 과다한 노동에 시달리고 있고 체력과 감정은 매주 바닥을 친다. 게임업계에는 며칠 간 집중적으로 업무에 매달리는 ‘크런치 모드’라는 게 있다는 데 마감 노동자도 비슷한 시기가 있지 않을까 싶다. 마감으로 밤을 지샌 다음에는 몽롱한 의식과 극심한 무기력이 찾아오곤 했다.
그럴 때 나는 지금의 상황을 타개하고 싶은 게 확실했다. 일이 좀 줄었으면 좋겠어, 저녁에는 좀 쉬고 싶어, 와 같은 생각을 곱씹었다. 그러기 위해서 나름의 루틴도 바꿔보고 상사와 미팅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런데 또 다른 한편으로 나는 일을 더 열심히 하고 싶고, 잘하고 싶기도 했다. 워라밸이 중요하지 않다거나 지금 생활이 힘들지 않다는 건 아니지만 아예 손에서 일을 놓아버리고 싶지는 않았다. 나는 일의 일부분에 분명히 흥미를 느끼고 있고 그건 때로는 열정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기도 했으니까.
그래서 늘 고민이었다. 뭐랄까. 최근 또래 직장인의 트렌드를 보면서 나는 좀 뒤쳐진 사람인가, 내 생각이 많이 낡았나 하고 남몰래 부끄러워했다. 다들 쿨하게 퇴근 시간이 되면 일에서 손을 떼고(혹은 마음을 떼고)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새로운 만남이나 모임에 참여하거나, 부캐를 만들어 열심히 시야를 넓히고 있을 때 나는 쟁기를 끄는 소처럼 당장의 눈앞만 보고 있는 게 아닌가 하고. 미련한 자신을 자책했다.
그런데 어느 날은 이런 생각이 들었다. 새롭게 일을 대하는 방식이라는 게 꼭 복수의 조직, 복수의 프로젝트, 복수의 분야여야지만 가능한 것일까. 지금 다니고 있는 직장과 업무에서 ‘해볼 만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을 때까지, 내 실력이 쌓일 때까지 밀고 가보는 것도 일을 대하는 새로운 태도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말이다.
나는 이 조직에 오랫동안 몸담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그렇다고 당장 뛰쳐나가야 할 생각도 들지 않는다. 나에게 나쁘지 않은 경력과 실력을 가져다 줄 것이었으므로. 직장은 이를 테면 아이언맨의 슈트 같은 거랄까. 더 좋은 게 생기면 그때 갈아입어도 충분하다.(발목만 잡히지 말자!)
이렇게 얘기하니까 순도 100%의 낭만으로 일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꼭 그런 것도 아니다. 내 태도는 ‘열정’이 아니라 ‘야망’이니까. 욕심도 어느 정도 담겨있다. 이를 테면, 5년 뒤, 10년 뒤에는 내 몸값이 어느 정도까지 올랐으면 좋겠다. 이런 처우를 받고 싶고 이런 프로젝트를 주도해볼 수 있으면 좋겠다와 같은 정량적인 목표도 있다. 왜 그런 말도 있지 않나. 직장인이 할 수 있는 가장 정도(正道)는 자신의 몸값을 높이는 거라는 얘기.
물론, 제풀에 지치지 않도록 늘 조심해야 할 테다. 조직의 이해나 문화에 매몰되는 것도 경계해야 할 거고. 트렌드에도 늘 레이더를 돌려야 한다. 나는 직장에 헌신하고 싶은 게 아니라 내 가능성에 헌신하고 싶은 거니까.
야망은 ‘존버’와도 다르다. 나는 이 순간이 마냥 괴롭기만 한 게 아니니까.
예전에 연봉 협상과 관련해 무척 실망했던 경험을 풀칠에 풀어 썼을 때, 파주님의 코멘트가 기억에 남는다. 드라마 ‘스토브리그’의 대사를 인용해 자기 가치를 자기가 모르면 누가 알아주겠느냐고. 이 시대의 직장인에게 야망은 그런 것일지도 모른다. 자기 가치를 자기가 찾아가는 것. 알아내는 것. 남들이 알 때까지 좀 더 만개하는 것. 그래서, 내가 선택한 나만의 방법은 탈주도 아니고 존버도 아니고 부캐도 아니다. 나는 야망을 선택하기로 했다.
직장이 “더 좋은 게 생기면 그때 갈아입어도 충분”한 “아이언맨의 슈트 같은 거”라는 말에 공감합니다. 저는 사업을 성공시킬 자신도, 뛰어난 1인 콘텐츠 제작자가 될 자신도 없기 때문이죠. 열 받는 상황도 많고 냉소하는 일도 많은 직장 생활이지만, (아직까지는) 직장 다니는 게 좋아요. 아직 ‘쉬고 싶다’고 느껴본 적도 없고요. 현재의 내가 원하는 것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조금 더 좋은 직장을 기다리며 할 수 있는 걸 할 뿐. 그래서 늘 채용공고를 살핍니다. 관심 있던 회사가 사람을 뽑는지, 관심 있는 직무를 뽑는 회사들은 어떤 역량과 경험을 중요시하는지 참고하기 위해. 흐흐. 새로움은 언제나 짜릿하니까요.
풀칠 닉네임을 ‘야망백수’로 정하면서 스스로에게 물어봤었어요. 내게 야망이란 무엇인가, 하고요. 제가 내린 답은 ‘아첨하지 않는 최선’이었습니다. 회사 다닐 땐 매일이 아첨처럼 느껴졌었거든요. 상사에게 립서비스 날리는 뭐 그런 의미에서의 아첨이 아니라 남 보기 그럴싸 해보이려고 내가 하고 싶은 일, 살고 싶은 삶의 방식을 N년 뒤로 미뤄두는 게 꼭 세상에 알아주지도 않는 아첨을 하고 있는 것 같았어요. 어차피 살려면 최선을 다해야 할 테니깐 이왕이면 내 가능성에 최선을 다 해보자는 게 제 야망이었습니다.
물론 퇴사 후에 이대로 괜찮은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다고 떠벌리느라 정작 하고 싶은 일은 진전이 없는 건 아닌지, 정말 하고 싶은 건 맞는지 고민하느라 편할 날이 없었지만...아직 돌아갈 마음이 들지 않는 건 어디에도 아첨하지 않고 살아온 제가 마음에 들기 때문인 것 같아요. 마감도비님도 저와 비슷한 자부심을 갖고 매일 마감을 방어해내고 있으시겠죠. 어쩌면 제 야망과 ‘나의 가능성에 헌신하는’ 마감도비님의 야망은 크게 다르지 않을지도요. 회사 안, 밖이 뭐 중요하겠습니까. 누가 월 수익 얼마를 인증했다더라 같은 말에 흔들리지 않는, 각자 선택한 방법으로 방식으로 내가 바라는 내가 되어가는 과정을 사랑하는 마감백수, 야망도비가 되어보아요.
에세이를 읽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세상에, 내가 남의 비극을 향해 저런 뾰족한 코멘트를 남겼다고? 서둘러 찾아보니 반년 전에 이런 말도 했더군요. '스스로 조금 뻔뻔하다고 느껴지더라도 가진 능력을 빰핑하는 습관을 기르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세상 거만한 멘트를 A/S해보자면 말이죠. 적어도 제 주변에는 본인의 능력에 부족함을 느끼고 성장을 열망하는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일잘알'이더라고요. 세상에 저렇게나 일을 잘하는 사람이 왜 결핍을 느낄까 의문을 품기도 했는데요. 지금 생각해 보면 끊임없이 부족함을 인지하고 성장하려는 욕구야말로 '일잘알'의 비결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마감도비님의 성실함과 일을 대하는 태도에 존경과 응원을 보냅니다. 매일 늦은 시간에 마감을 해치우면서도 의연하게 또 다음 마감을 준비하는 마음. 어제의 불행에서 매번 일의 노하우를 발견하는 자세는 분명 마감도비님이 '일잘알'이라는 증거들일 테니까요. 오늘자 마감도 화이팅입니다!
어느 무직 1년 차의 소회 [밥벌이 에세이] (3) | 2021.08.13 |
---|---|
약간 어긋난 사람들 [밥벌이 에세이] (0) | 2021.08.13 |
저도 트윈헤드-휴먼이 되고 싶어요 [밥벌이 에세이] (0) | 2021.08.13 |
월루의 미학 [밥벌이 에세이] (1) | 2021.08.13 |
제가 누구인지 말해주세요 [밥벌이 에세이] (1) | 2021.08.13 |